목록스크립트 (3)
루토's sssssstory
출처 : http://terzeron.net/wp/?p=336 1999/09/19 Tcl/Tk 문법설명 3부 확장 3부 Tcl/Tk Extensions 이번 회에는 Tcl/Tk를 확장하여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하고 프로그래머들의 다양한 요구 사항을 만족시켜 줄 수 있는 Tcl/Tk의 확장된 형태의 언어(extension)와 Tcl/Tk의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. 대개의 Tcl/Tk Extension들은 Tcl을 기반 언어로 제공하고 있거나 다른 언어 쪽에서 Tcl의 기능을 추가시킨 것이 주를 이룬다. 다양한 Tcl/Tk 확장 언어들을 보면 Tcl/Tk가 얼마나 널리 사용되고 확장성이나 이식성이 뛰어난지를 알 수 있게 될 것이다. 그러나 모든 확장 언어들을 살펴 보기에는 지면이 허락하지 않으..
출처 : http://terzeron.net/wp/?p=245 1999/07/16 1장 소개 1) X Window System과 Tk의 소개 X 윈도우 시스템은 MIT와 DEC가 공동으로 개발한, 하드웨어와 OS에 독립적인 윈도우 시스템이다. 하드웨어와 OS에 독립적일 수 있는 이유는, X 클라이언트와 X 서버로 각각의 기능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이다. X 서버는 장치구동기(device driver)를 통해 하드웨어와 OS를 제어하고, X 클라이언트는 X 프로토콜을 이용해 X 서버에게 윈도우 작업을 요청하게 되는 것이다. X 프로토콜은 사람이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, Xlib을 이용하여 C로 X 윈도우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. 그러나 Xlib조차 프로그래밍하기가 쉽지 않다. 아주 간단한 ..
출처 : http://terzeron.net/wp/?p=244 1999/05/15 소개 Tcl은 Tool Command Language, Tk는 Toolkit의 약자로서, 응용프로그램을 제어하고 확장하는 것을 돕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하나이다. Tcl의 장점은 Tk와 함께 사용되어 응용프로그램이 X Window를 손쉽게 다룰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데 있다. 물론 요즘에는 Scheme, Lisp, Perl 등의 강력한 경쟁자들이 생기긴 했지만, 아직도 많은 개발자들이 Tcl/Tk에 대해서 친근감을 느끼고 있다. 게다가 Tcl/Tk는 C source로 embed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. Tcl/Tk는 [티클티케이]라고 읽는다고 개발자 J. K. Ousterhout가 말했다. Ousterh..